목록전체 (110)
멸병의 맨몸운동
펄스그립(false grip)을 사용 하는 방법 링을 잡는 틀린 방법 입니다. 이렇게 잡으면 턱걸이에서 딥 자세 전환시 체중이 팔꿈치에 모두 쏠려서 팔꿈치가 상하고 난이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갑니다. 관절 건강을 위해서 위와 같은 잡기로 절대 머슬업을 하지 않습니다. * 머슬업 훈련 계획 설정 방법 FBE 전통적 훈련 방식에 따라서 최대 스트랭스 향상을 위해 자신이 5회 할 수 있는 동작을 찾아서..
우리는 FBE를 통해서 최대 스트랭스를 발달 시킬 것 입니다. 기본 스트랭스를 만들때는 어떤 훈련을 하던지 5x5 5x3을 지키는것이 최고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3x3 혹은 3x5으로 훈련을 계획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일반적인 규칙외에 두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사춘기 이전의 아이들은 간단하게 1세트 3-5회 운동을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린 아이들이 엄청난 스트랭스를 얻는것..
밀기(press)훈련을 하기 전날과 당일에는 물구나무서기를 적게 하거나 하지 않도록 합니다. 물구나무 서기는 한달 간격으로 60초씩 추가 하는것이 규칙 입니다. 물구나무서기 며칠에 한번씩 하루에 몇분을 해야 할까? 팔꿈치가 완전히 펴진 정자세 물구나무서기 최대 기록이 40초라고 예를 듭니다. 둘로 나누면 20초가 되고 20초가 세트당 버텨야 할 시간 입니다. 5세트 20초를 한달동안 매일 수행 합니다. 하루에..
4편 물구나무서기와 물구나무밀기에서 물구나무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 봤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물구나무서기를 어떻게 훈련하는가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가 하게 될 벽에 기대서 하는 벽 물구나무는 정확한 물구나무서기를 배우는데 가장 중요한 도구 입니다. Sommer 코치는 상당한 시간을 물구나무서기에 투자할것을 추천 합니다. 우리가 물구나무를 통해서 무엇을 얻는지 부터 알아야 물구나무를 할지 안 할지 결정 하지 않겠습니까? 여러분들은&n..
1. L-sit 기본 정의 소개 L-sit 혹은 Half-Lever라고 불리는 이 동작은 기계체조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중 하나이며 복근 운동중 가장 간단해 보이는 운동입니다. 이 간단한 동작이 힘들어 봤자 얼마나 힘들까요? 분명 모든 운동중 가장쉬운 운동입니다. 틀렸습니다. L-sit을 시작하게 되면 다른 대부분의 복근 운동은 아이들 장난 처럼 느껴질 것 입니다. 과거로 가서 S..
기본개념 2편에서 알아 봤듯이 우리는 앞으로 FSP를 통해서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을 발달 시키게 할 것 입니다. 이 글에서 FSP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 봅니다. 정적 자세 즉 몸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자세를 우리는 FSP (Fundamental Static Positions) 라고 합니다. 즉 플란체, 프론트레버, 백레버, 사이드레버, Manna, 스트래들 L 을 FSP ..
물구나무서기& 물구나무 밀기 Handstands & Press Handstands 물구나무서기와 물구나무 밀기는 상체 스트랭스와 체조의 파워를 발달시키는 필수 요소입니다. 저는 팔굽혀펴기 보다 물구나무가 더 중요 하다고 생각 합니다. 달리기선수에게 달리기 훈련이 가장 중요하듯이 맨몸훈련에는 물구나무 서기가 가장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이고 최종 동작은 그만큼 어렵고 높은 수준의 능력을 요구 합니다. 물구나무서..
맨몸운동은 진행 순서가 정말로 중요합니다. 진행 순서를 무시하고 무리한 시도를 하면 관절이 상하는 부상이나 원하는 동작이 시도 조차 되지 않아 운동의 흥미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비록 맨몸운동이 난이도가 엄청나게 높지만 다행히도 우리에겐 지레의 비가 있습니다. 같은 동작이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동작에서 평생 못해볼것 같은 동작까지 지레의 비를 통해서 수준을 높혀 갈 수 있습니다. 첫째. 물구나무 서기 물구나무 서기는..
이 블로그에 있는 동작 뿐만 아니라 기계체조관련 동작은 무궁무진하게 많습니다. 이 블로그의 정보가 기계체조 스포츠 전체를 대변하는것이 아닙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맨몸운동을 통해서 기본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1. 목적운동을 하는 이유에는 여러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Body Building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하는 운동으로 BodyBuilding입니다. 이는 근 비대(Hypertropy)를 통해 최종적으로 근육을 ..